리뷰
산불 진화 헬기 추락 원인 (기령 44년 헬기 + 70대 조종사)
최고씨
2025. 4. 6. 23:51
안녕하세요, 재난·안전 이슈를 전하는 블로그입니다.
오늘은 "산불 진화 헬기 70대" 관련한 최근의 충격적인 사건과 함께,
노후 헬기와 고령 조종사 문제를 들여다보려 합니다.
✅ 기령 44년 헬기 추락
✅ 71세 조종사의 안타까운 희생
✅ 구조적 문제점과 제도 개선의 시급성
📌 사건 개요: 71세 조종사, 산불 진화 중 순직
2025년 4월 6일, 대구 북구 서변동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 도중
기령 44년 된 헬기(Bell 214B)가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 헬기를 조종하던 71세의 A 조종사는 안타깝게도 사고 현장에서 숨졌습니다.
그는 과거 산림청 산불전문진화대로 근무했던 경력자였지만,
40년 넘은 노후 헬기와 고령이라는 조건 속에서 구조적 취약성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 산불 진화 헬기 현황: 숫자는 많은데, 상태는?
항목 | 세부 정보 |
산불 진화 헬기 총수 | 약 70대 (산림청 + 지자체) |
기령 30년 이상 | 30대 이상 |
사고 기체 정보 | 1979년식 Bell 214B (민간 임차) |
조종사 연령대 | 60~70대 비중 높음 |
🚨 문제는 단순 추락이 아닙니다.
민간에서 임차한 노후 헬기들이 산불 진화에 투입되고 있으며,
그 안에서 고령의 조종사들이 생명을 걸고 조종하고 있습니다.
📌 구조적 원인: 왜 70대 조종사가 헬기를 조종하나?
전문가들과 관계자들의 지적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구조적 한계가 있습니다.
- 노후 헬기 교체 예산 부족: 1대당 수백억 원 수준
- 민간 임차 중심 구조: 관리·감독의 법적 미비
- 헬기 조종사 인력난: 젊은 조종사 수급 어려움, 퇴직자 재고용
- 정비·검사 사각지대: 임차 헬기임에도 규제 체계 미흡
결국, 예산·법제·인력의 3박자 미비가 오늘의 비극을 만들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 바꿔야 할 것들: 더는 미룰 수 없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명확합니다.
- 기령 30년 이상 헬기 교체 예산 확보
- 민간 임차 헬기 안전관리 체계 강화
- 조종사 고령화 대응 인력 양성 시스템 마련
- 전담 산불 진화기구 법제화 및 상설 조직화
이 문제는 ‘자연재해’의 영역이 아니라 ‘관리 부실’의 결과입니다.
우리는 또 한 명의 조종사를 잃었고, 더는 잃지 말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