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네 번째롤과 서른 다섯 번째 롤이다. 서른 네번째 롤은 완전 폭삭 망했다. 건질사진이 거의 없었다. 사진을 찍으면 찍을수록 사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다른 사람의 사진도 많이 보는데 내 실력은 올라간 눈높이를 쫓아오지 못했다. 마지막 업데이트로부터 2개월이 지났다. 코로나 확산세와 강추위로 기온도 많이 내려가면서 내 흥미도 함께 내려간 듯 했다. 카메라를 팔기로 결심했는데 정이들었는지 쉬이 중고장터에 글을 쓰지 못했다. 좀 더 찍어보기로 하고 찍었다. 부케. 흰조명아래 빛났다. 초점이 좀 더 잘 맞았더라면, 세차를 했더라면 하고 아쉬운 느낌의 사진이다. 꽃은 참으로 아름답다. 위 두장이 서른 네 번째 필름에서 유일하게 건질만한 사진이다. 자전거를 요즘 못타서 아쉬운데 어서 날이 풀렸으면 좋겠다..
가을이다. 여름을 좋아하는데 이번 여름은 진탕 비만와서 여름 같지도 않게 지나갔다. 가을이 되고, 필름카메라를 꺼내야지 마음먹자 가을이 끝나버렸다. 신도림에 이작가님과 그녀의 아들을 보러 가는 김에 카메라를 챙겼다. 아이는 아직 카메라를 카메라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얼거나, 인위적인 표정을 만들지 않아서 좋은 모델이 되어준다. 정말 눈처럼 하얀 아이였다. 어두운 밤인데 혼자 빛나고 있는 듯 했다. 호기심 가득한 눈빛이 천진한 미소가 너무 예뻤다. 한창 뭐든지 신기할 나이, 뭐든지 입에 넣을 나이인 J는 밥을 손으로 한참 주물거리다 입에 넣었다가 다시 주물거리고 아주 손맛가득하게 식사를 했다. 테이블에서만 그런게 아니라 사방팔방 돌아다니며 그 행동을 반복했기 때문에 방바닥과 내 검정 맨투맨과 쇼파에 밥풀..
가을이 갔다. 지난 10월 찍은 필름을 현상하면서 따듯했던 그날의 소중함을 되돌아 본다. 여름 최고. 그림자가 길게 드리워져서 촬영했다. 외근 겸 세종대에 갈일이 있었는데 시간이 조금 남아 어린이 대공원을 산책해 보기로 했다. 한낮의 어린이 대공원은 한산할 줄 알았는데 꽤나 사람이 많았다. 무슨일을 하는 사람들이길래 대낮부터 여기서 놀고 있는 것일까. 한 가족이 사슴을 구경하고 있었다. 유모차에는 얼마 안된 아이가 있었는데, 남편이 사슴이 자꾸 자신을 신경쓰는거 같지 않냐며 이야기 했다. 사실 그 사슴은 내가 카메라를 들이대면서 접근하자 곁눈질로 나를 신경쓰는거 같았다. 그래서 그 이야기를 듣고 '후후 약간 주인공병에 걸리셨는걸' 이렇게 생각했는데, 부인되는 분 께서 '무슨소리에요, 저기 카메라 신경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