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행복에 관한 책이다. 행복에 관한 다양한 책을 읽어봤다. 행복이 ㅇㅇ이니까 ㅇㅇ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다른 책들과는 다르게 에서는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 집요하게 파고든다. 인간은 가진 본능을 충족시킬때 행복감을 느낀다고 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동물이라 먹을 때, 목숨이 안전할 때, 번식할 짝을 찾았을 때 행복감을 느낀다. 거기에 덧붙여 사회성이 있는 동물이라 사회적 활동을 할 때도 행복감을 느낀다고 한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사랑하는 사람과 밥을 먹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이지 않을까? 하고 나름의 정의를 내린다. 나온지 꽤 된 책이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행복의 기원을 쫓는다. 진화론은 언제나 재밌다. 어디에나 붙일 수 있어서 더 재밌다! 이미 보편화 되어서 아는 이야..
이직을 결심했다. 의외로 단박에 오퍼가와서 면접을 본 곳이 잘 되었다. 작지만 나쁘지 않아보여서 킵하고 다른곳도 지원해보려 했으나, 게으른 나는 최종 결과가 나올때까지 아무런 액션없이 기다렸다. 그리고 최종합격 처우협상에 들어갔다. 처우는 애매했다. 그래서 고민이 시작되었다. 친구, 동생, 선배 할 것 없이 나를 아는 누구나를 붙잡고 이직할지 말지에 대해 물었다. 그때마다 누구는 이직을 하라고, 누구는 이직을 하지말라고 했다. 나는 양측 모두에게 반박했다. 이직을 하라는 사람에게는 이직을 해선 안되는 이유로, 이직을 만류하는 사람에겐 이직을 해야하는 이유로. 그렇게 타인을 이용해서 내 마음을 저울질 했다. 다행스럽게도 나는 상담을 전공한 지인들을 많이 알고 있었고 그들은 인내심있게 내 사고가 좀 더 깊이..